오래 못 할 짓 하지 않기

네트워크 용어 정리 본문

2학년 1학기/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OSS )

네트워크 용어 정리

쫑알bot 2023. 5. 10. 22:07
728x90

server, client

 

server: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  server client로부터 Request 받아서 Respond 주는 역할을  

 

 

Client : Server 정보나 서비스를 요청하고 받아서 사용하는 장치, 프로그램

▶  깊게는 서버에 알맞은 형태로 요청하고,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매체

 


 

protocol

:  컴퓨터와 [ 컴퓨터 or 단말기 ] 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하여 정한 통신 규약

 

 

http, https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 방식,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 서버가 응답하고 전송 연결 종료 (단방향 통신)

    = 정보 주고 바로 나감

 

http : 80 port

암호화가 되어있지 않아서 보안에 취약함

 

그래서!

https (s=secure) : 443 port 

: http + SSL(Secure Socket Layer)

  네트워크에서 3자가 없도록 공개키 암호화를 지원

 


 

웹 서버 관련 소프트웨어 시스템

 

  • Apache,nginx : 웹 서버 스프트웨어
  • Tomcat : JAVA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 JVM 지원
  • IIS : Microsoft에서 개발한 웹 서버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

  • front-end : 웹서버에서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구성하는 영역
  • back-end : 웹서버가 사용자에게 요청을 받아 필요한 정보를 만들어 내는 영역
  • full stack :     front-end + back-end

 

 

웹 페이지 관련 시스템

 

  • html : 웹 페이지를 작성하고 텍스트, 이미지 같은 웹 페이지 요소들을 만들 수 있는 마크업 언어

             --> 웹 페이지의 구조를 만든다.     갖다놓고

 

 

  • css : html로 만든 뼈대에 디자인을 입혀주는 프로그램

            --> 구조를 어떻게 표시할지, 디자인을 신경씀  / 시각적으로 이쁘게 만든다. 꾸미고

 

  • Javascript : 위 2개와 달리, 웹사이트가 로딩된 후에도 css와 html 구성요소를 변경할 수 있게 해주고, 웹사이트를 interactive하게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시킨다.

 


 

프로토콜 종류들

 

SSH (port 22)

: Secure Shell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호스트 연결 과정을 보호함.

     보안이 강화된 터미널 환경에서 접속할 있도록 해준다.

 

 

FTP  (port 21)

: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주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파일을 전송할 있게 해주는 프로토.

 

 

SFTP (port 22)

:Secure FTP

--> SSH 기반으로 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프로토콜을 SSH 보안이 강화된 환경에서 사용할 있음.

 


 

 

  • Ethenet : 유선 네트워크 / 집이나 회사같이 같은 건물, 즉 같은 로컬 환경의 컴퓨터나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 (유선 LAN임 <<밑에 설명있음)

 

  • LAN : Local Area Network 지역 네트워크

        IP 사용하는 전자기기들끼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학교에서 컴퓨터끼리 연결해주는 

 

 

  • WAN : Wide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

      LAN 있는 전자기기가 다른 LAN 있는 전자기기에 통신을 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ex) KT , SKT , LG

 

  • Router : 하나의 통신망(LAN)에서 또 다른 통신망(another LAN)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

 

 


 

TCP / IP

 

공통점 :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에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차이점 : 

IP     -  빠르게 도착하는 거에 초점을 둠,           TCP - 전달 과정에서 손실 X 순서 X    -->   IP보다 느려도 정확함.

 

 

  • Encapsulation (송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낼 , 다음 계층으로 보낼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앞부분에 붙여서 보내는

Ex) 다음 단계 가려면 마스크 껴야한다. (상태: 마스크)

Ø  다음 단계 가려면 고글 써야한다 (상태 : 고글 마스크 ) …

Ø  장갑 고글 마스크  

 

요약하자면 [ 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해 나가는 ]

 

 

  • Decapsulation(수신)

:수신 측에서 헤더 ( 데이터가 날아오려면 필요했던 데이터들) 제거하는 과정

장갑 벗기고 고글 벗기고 마스크 벗기면서 다시

 


 

  • IP address :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주소

 

  • Port : 컴퓨터가 각각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통로

요청받은 데이터에 맞게 처리하기 위해서 해당 정보를 처리할 있는 데이터의 통로

Ex) 내가 시킨 택배 = 데이터 à 우리 주소 = IP  à = port 

 

 

  • Socket :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도구

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됨.

 

) 서버는 특정 포트를 열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림 /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응답을 받음 ß 소켓이 데이터(요청,응답) 주고 받는 역할을

 

socket > IP >port 

 

IP : 내 집 주소  / Port : / socket : 택배 배달원 or 도로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와 같은 TCP/IP 설정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주로 회사나 가정용으로 많이 쓰인다.

 

 


Domain name, DNS(Domain name system)

 

 

'2학년 1학기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OS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3 (웹호스팅)  (0) 2023.05.16
라즈베리파이 2 (명령어)  (0) 2023.05.16
라즈베리 파이 1  (0) 2023.05.09
네트워크 2  (0) 2023.05.05
네트워크 1  (0)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