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못 할 짓 하지 않기

[ Erasure Coding ] 통신/부호 이론 Ch1 본문

4학년/캡스톤 (Capstone)

[ Erasure Coding ] 통신/부호 이론 Ch1

쫑알bot 2025. 2. 5. 15:03
728x90

정보 송수신 계통은 아래와 같다.

 

[ 부호기 → [ 변조기 →  ( 추가적인 동작 및 노이즈 추가) → 복조기 ]  → 복호기 ]  

 

위 결과로 나오는 게 b의 언저리 값이다.

 

* 변조기와 복조기는 서로 Invertible한 관계

* 부호기와 복호기도 서로 Invertible 관계

 

  • 복조기까지 거친 데이터를 복호기에 넣으면
    복호기에서 오류 검출 및 정정 과정까지 거친다.

 

부호기와 복호기 사이에 있는 걸 BSC(Binary Symmetry Channel ) 라고 한다.

 

 

● BSC의 효과

- 천이 확률을 0.5보다 낮게 한다.

천이 : 1이 전송되어 0이 되거나, 그 반대인 경우.


BCH/RS 부호 혹은  Hamming 부호처럼 간단한 복호 알고리듬이 많이 있다.

하지만 이런 것과 완벽히 다른 형태의 부호가 콘볼루션 부호다. 

 

- 콘볼루션 부호 : 과거에 입력된 정보비트가 현재 출력되는 부호어 생성에 영향을 주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음.

                            유클리디언 공간에서 복호가 수행된다.

                            비터비 알고리즘으로 쉽게 구현 가능함

                            랜덤 발생 오류에 대해 정정이 뛰어나다.

 

- BCH/RS 부호 : 연집 발생 오류에 대한 정정이 뛰어나다.

 

 

연접부호 (Concatenated Code)  :  [ 랜덤 발생 오류 정정 + 연집 발생 오류 정정 ] 까지 잘 되는 부호 방식

 

 

 

'4학년 > 캡스톤 (Capst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rasure Coding ] 통신/부호 이론 Ch.2  (0) 2025.02.07
Erasure Coding - Reed Solomon  (0) 2025.01.07
rclone 주요 기능 분석 ( flow 위주 )  (0) 2024.12.27
Go 언어 실습 3 코드  (0) 2024.12.24
Go 언어 실습 2  (0)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