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못 할 짓 하지 않기
[ 기독교 변증학 ] 기적논증 본문
기적에 대한 정의
• 기적: "우주 운행의 근간이 되는 자연법칙이나 자연과정의 정상적인 운동 의 영역을 벗어난 특별한 사건(event)"으로
자연법칙과는 다르다.
• 성경의 하나님: 특정한 시간과 장소와 방법으로 우주와 자연의 근본적인 법칙에 간섭하거나 개입할 수 있다:
• 신이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역사와 자연, 인생에 개입하는 것= "기적"
기적을 부인하는 자연주의 견해
• 현대 과학체계는 “기적은 불가능하다"고 간주한다.
• 많은 과학자들은 기적의 발생을 입증할 충분한 증거들이 없다고 주장한다.
• 무신론적인 과학자, 철학자들은 기독교의 "기적"을 "극히 예외적인 자연 현상"으로 본다. (데이빗 흄)
자연주의: 기적은 통계적 예외현상" 주장
가령, "A라는 기적이 발생했다"는 진술에 대해
① 어떤 사건에 대한 관찰이 불완전 or 실수일 수 있다.
② "A라는 사건"을 기적이라고 보는 이유는 그 사건이 인간의 이성을 넘어 섰기 때문인데,
그것은 초자연적 존재의 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아 직 모르는 자연과정일 수 있다.
③"기적사건"은 자연과정의 희귀한 현상일 수 있다.
• 따라서 "A라는 기적"의 원인은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 연과정의 통계적인 예외성 (statistical oddities)으로 보아야 한다.
기적에 대한 3가지 반응
1. 불가능
- C.S. 루이스의 반박
:" 내가 기적을 받는 이유 =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에 대한 철학적 근거가 어디에도 없음 "
2. 있을 법 X
- 흄
: = 기적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경험이 있냐? 그건 다 구라임 . 우리는 기적 경혐이 있기 때문
3. 기적논증 사용은 부적절
데이빗 흄과 버트란트 러셀: 모든 종교가 기적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진정성을 말한다면, 기적은 기독교의 독특한 근거가 될 수 없다."
* C.S. 루이스의 답변:
-> 다른 종교에 기적은·•• 희박하지만 하나님의 동정심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 존 힉/ Keeho Kim의 답변:
-> 만일 다른 종교에 기적이 있다면, 포교론적인 목적 또는 다른 원인에 의 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변증가의 공통의견:
"기독교의 기적의 적절성과 고유성은 내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
'2학년 2학기 > 기독교 변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독교 변증학 ] 부활 논쟁 (0) | 2023.11.23 |
---|---|
[ 기독교 변증학 ] 파스칼 내기 논증 (PPT보고 보충해야함) (0) | 2023.11.16 |
기변 혹시나 (0) | 2023.11.09 |
[ 기독교 변증학 ] 이슬람 (1) | 2023.11.06 |
[ 기독교 변증학 ] 유발 하라리 논쟁 (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