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학년 1학기 (67)
오래 못 할 짓 하지 않기

Mealy Machin Design 과정은 비슷한데 더 간단함 D F/F을 사용 할 예정 1) State diagram + table 2) State assignment + 카르노맵 + equation State assignment : 0 = A / 1 = B -->Diagram 에서 상태가 2가지 밖에 없으므로 간단하게 나옴. = > 상태가 2^n 개면 F/F은 n개 필요 = 1개 카르노맵 - Equation : D=w / z=wy 3) Circuit 그리기 회로 분석 : Z 로 들어가는 거는 WQ이다. (Mealy 특성) W는 F/F에 들어가는 게 아니기 때문에 CLK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TIming diagram 그릴 때 유의할 것 + ) Timing diagram 이거 할 땐 Z 도 CLK영향..

AOE Network Active On Edge Edge가 Ativity를 의미 Weighted(=cost) edge Vertex = 작업이 완료된 상황 분석 ) Critical Path = The Longest Path - cost가 가장 큰 path 여기에서 crtical path를 보면 a3 -> a6 -> a8 -> a10 6 + 7 + 7 + 4 = 21 이다. 전체 성능에 영향을 준다는 이유는, 군대 밥먹는 거라고 생각하면 됨. 마지막 사람이 올 때까지는 출발 못 하듯 8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a10와 a11을 지나야 함. Earliest start time = 해당 Activity 가 시작되려면 필요한 시간 = 마지막 주자까지 와야 그게 기록 종료임. 빨리 오는 애들은 영향없음. or a8 도..

https://psychoria.tistory.com/765 (출처) [Java] 자바 ArrayList 사용 방법 ArrayList는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클래스입니다. ArrayList는 자바의 List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여러 클래스 중 하나입니다. 일반 배열과 동일하게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며 인 psychoria.tistory.com https://coding-factory.tistory.com/556 파일 저장 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메모리가 다르다. 1234567890을 [text file]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char]로 읽어서 받아야한다. --> char는 한 문자씩 읽어들이고, 한 문자당 1byte를 차지함. 1byte * 10개 + additional byte 3 ..

서버 고정 IP주소를 가지고 24시간 동작하는 SW 주소 고정 IP : 설정 후 변경이 없는 IP주소 유동 IP : 일정 시간 이후 다시 할당을 받아 변경될 수 있는 IP DDNS ( Dynamic DNS ) : IP주소가 변경되어도 동일한 도메인 이름으로 IP주소를 제공 하는 서비스 내부 IP :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만 장비를 구별하는 IP 외부 IP : 전세계 인터넷에서 특정 장비를 식별하는 고유 IP 라즈베리파이는 [ 유동 IP를 사용하는 공유기로부터 할당받은 내부 IP를 사용 ] 라즈베리파이로 계정관리 기능을 수행 (sudo su -) Super User (root) sudo su - 필요. 계정 id/pwd , 홈디렉터리 ( 만들어진 계정이 작업할 곳 ) , 그룹 등을 설정 계정 정보 파일 : ..

System admin sudo : root의 권한으로 명렁어를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관리자들은 어디에서 관리를 하나? --> Sudo 파일 : /etc/sudoers --> 그냥 cat sudoers 하면 권한 없다고 안 됨, " sudo " cat sudoers 하면 가능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sudo (명령어) --> 관리자 권한으로 뒤에 오는 명령어 실행됨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 : su user1 --> user1이라는 계정으로 로그인하겠다. + : su - user1 --> 로그인 했을 때의 그 환경 설정까지 가져오면서 로그인하겠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 : sudo su - -->root 계정의 환경설정까지 실행 되면서 로그인 (위치는 root의 홈 디렉토리) 관리자가 권한이 더 많음..

Spanning Tree 시작하기 전에 tree = 그래프의 일종 = cycle이 없는 그래프 Edge는 n-1개가 만들어진다. Edge 개수 = Vertex 개수 -1 이니까 ※ 원래 그래프에 있는 Edge만 사용 가능하다. 위 그래프 같은 경우엔 C -B 이런 건 안 됨 DFS , BFS 루트대로 만드는 Spanning tree도 있음 Biconnected Component --> articulation point 를 갖지 않는 connected graph + articulation point ==> 해당 vertex가 삭제되면 원래 하나의 그래프가 두 개 이상으로 나눠지는 vertex. 위 사진에서는 C가 Articulation point임. C가 삭제되면 나머지 그래프가 둘로 나눠짐 Minmum ..

순차회로 설계과정 이런 식으로 회로를 만드는데, 1. 입력들을 Next state logic에 모아서 2. F/F에 넣어준다. 3. Output logic을 거쳐 output을 낸다. 이러한 모양을 만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우선 입력에 1이 연속하여 3개가 나올 때, 상태가 1이 되는 시스템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1. State table과 diagram을 만든다 state diagram과 table을 이렇게 구할 수 있다. ( 둘 다 연습해보아야 함) 2. 상태 할당 State assignment를 한다. 위에 있는 state table에 대한 state assignment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여기에선 우리가 임의로 q1,q2에 대한 상태를 A = 00 , B = 01 , C=..
server, client server: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server 는client로부터 온 Request를 받아서 Respond를 주는 역할을 함 Client : Server에 정보나 서비스를 요청하고 받아서 사용하는 장치, 프로그램 ▶ 더 깊게는 서버에 알맞은 형태로 요청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매체 protocol : 컴퓨터와 [ 컴퓨터 or 단말기 ] 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하여 정한 통신 규약 http, https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 방식,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서버가 응답하고 전송 후 연결 종료 (단방향 통신) = 정보 주고..

x F/F (+@)를 가지고 y F/F 만들기 순서 : 1. Truth table을 만든다 --> Q에서 Q*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그 안에 있는 F/F의 behavior를 고려 해서 안에 들어있는 F/F의 input을 만들어준다. 2. *Q 다음에 있는 것들에 대한 카르노맵을 만들어준다. 입력은 y F/F + Q 3. 안에 게이트는 그대로 냅두고 y F/F로 가는 logic gate들을 만든다. ex 1 ) 풀이 1) truth table을 먼저 만든다 우선 JK = 0 0 이면 No change이기 때문에 최종 출력은 Q인 상태로 되어야한다. Q가 0이면 *Q = 0 Q가 1이면 *Q = 1 이런 경우에 D F/F의 특성을 생각해보자. 들어온 대로 내보내기 때문에 D F/F의 Input은 *Q의 값을..
라즈베리 파이 원격 연결 - 라즈베리 파이 IP 찾기 1) 라즈베리 파이에 SD 카드 삽입 2) 전원 연결 3) PC와 라즈페리파이가 같은 wifi에 접속하고, hostname으로 IP를 찾을 수 있다. ex) ping (내가 설정한 이름).local -4 - 라즈베리 파이 ssh 로그인( Port : 22 ) 1) ssh로 라즈베리 파이 서버 접속 ex) ssh gurdl2384@(서버ip) 하고 나중에 비밀번호 물어보면 쳐준다. - 다중 와이파이 설정 방법1) 라즈베리파이에 ssh로그인 방법2) 라즈베리파이에서 직접 작업 --> 와이파이 설정 파일 위치로 이동 = root로그인 필요 --> sudo su - --> cd /etc/wpa* --> wpa_applicant~~.conf sudo su - ..